주요사업
평화소식
후 원
활동소식
평화산책
자료실
지역본부
재단소개
  사업의방향
  교육과훈련
  평화의삶실천
  남북의교류와협력
  국내외네트웍구성
  평화에너지봉사단
  평화소식
  주요 南北합의자료
  비핵관련 합의자료
  후원안내
  재정보고&후원소식
  활동 소식
  활동소식
  이달의일정
  남이랑북이랑
  재단 이모저모
  김정희(나의북한방문
  오덕렬(평화이야기)
  김동진(평화이야기)
  변준희(평화이야기)
  박성용 (평화산책)
  이재봉 (평화산책)
  사진자료
  동영상
  평화자료
  관련홈페이지
  보도자료
  경인본부
  충남본부
  인사말
  창립선언문
  조직도
  발기인명단
  로고설명
  찾아오시는길
이재봉 (평화산책)
snpeace
HOME | 평화산책 | 이재봉 (평화산책)

   
  명사초청 대담과 판문점/대성동 방문
  글쓴이 :      날짜 : 19-08-06 10:08     조회 : 2846    
명사초청 대담과 판문점/대성동 방문

  2019년 1학기에 이어 2학기에도 통일부 지원으로 특강을 마련했습니다. 1학기엔 문정인 대통령통일외교안보 특보,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 김진향 개성공단 이사장, 명진 평화의길 이사장 (스님), 진천규 통일TV 대표 등을 초청해, 매주 평균 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화를 나눴습니다. 이 대담 내용은 통일부 통일교육원에서 통일교육 교재로 출판하기로 했습니다.
  2학기엔 역사, 문학, 예술 분야의 저명인사 11분을 초청해 대화를 나눕니다. 통일부의 지원 취지가 ‘대학생 통일교육’이기에 될수록 대학생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시간을 조금 앞당겨 2학점 정규 교양과목으로 개설합니다. 물론 교직원과 일반시민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모든 강좌를 공개합니다.
  이 강좌는 판문점과 대성동 견학을 포함합니다. 대성동은 비무장지대 (DMZ) 공동경비구역(JSA) 안에 자리 잡은 남한 유일의 특수한 민간마을이지요. 9월 21일 (토)과 11월 30일 (토)은 당일치기로, 10월 25-26일 (금.토)엔 1박2일로 다녀옵니다. 수강생들은 희망자에 한해 무료로 한 번 다녀올 수 있습니다.
  구체적 일정을 아래에 덧붙이니 큰 관심 갖고 많이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재봉 드림.
<명사초청 통일대담>
성격: 원광대학교 2학점 교양과목
기간: 2019년 9-12월 매주 목요일 15:30-17:30
장소: 원광대학교 프라임관 컨퍼런스룸
대상: 원광대학교 학생 및 교직원, 주제에 관심 있는 일반시민 (공개강좌)
1) 9/05, 이재봉 (주임교수)
- 개강: 수업 소개, 한반도 대전환 시대 평화와 통일의 길
* 9/12, 추석 휴강
2) 9/19, 박맹수 (원광대학교 총장, 전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 동학혁명과 개벽의 정신으로 평화와 통일을
* 9/21 (토), 1차 현장답사: 판문점과 대성동마을
3) 9/26, 한완상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장, 전 통일/교육부총리)
- 3.1운동과 건국에서 평화와 통일로
* 10/03, 개천절 휴강
4) 10/10, 이만열 (한국독립운동사 편찬위원장, 전 국사편찬위원장)
- 항일독립운동과 해방에서 평화와 통일로
5) 10/17, 한홍구 (성공회대 역사학교수, 반헌법행위자 열전 편찬위원회 책임편집인)
- 민주화운동에서 평화와 통일로
6) 10/24, 정창현 (현대사학자, 평화경제연구소 소장)
- 남북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 10/25-26 (금-토), 2차 현장답사: 판문점과 대성동마을
7) 10/31, 황석영 (소설가)
- 평화와 통일을 위한 문학의 역할
8) 11/07, 임헌영 (문학평론가, 민족문제연구소장)
- 필화사건 및 저항 문학예술을 통해 보는 평화와 통일
9) 11/14, 신학철 (화가)
- 평화와 통일을 위한 미술의 역할
10) 11/21, 백자 (가수, 노래패 우리나라 대표)
- 평화와 통일을 위한 음악의 역할
11) 11/28, 권병길 (원로 연극배우)
- 평화와 통일을 위한 공연예술의 역할
* 11/30 (토), 3차 현장답사: 판문점과 대성동마을
12) 12/05, 김재용 (원광대 국문과 교수,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위원)
- 남북한 언어와 문학예술의 공통점과 차이점
13) 12/12, 이재봉 (원광대 정치학/평화학 교수, <문학과 예술 속의 반미> 저자)
- 분단과 전쟁의 문학과 예술에서 통일과 평화의 문학과 예술로

   

03735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11길 20 CI빌딩 501호
TEL : 02-6261-0615 FAX : 02-6261-0611 Copyright 2007 KOREAPEACE
통일부 허가법인 제 275호 기획재정부 제 2007-256호 공익성 기부금 대상단체
관련사이트